카테고리 없음

일본 '오염수 방류' 문제점은 뭘까? 어떻게 인식해야할까?

withseshang 2023. 8. 25. 14:25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언론에 보도되는 일본 오염수 방류에 관한 뉴스를 들으니 마음이 착찹합니다. 어제 결국 일본정부는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시작하였다는 소식 때문이죠. 이러한 일본 오염수 해양방류는 우리나라와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정부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오염수를 저장해왔습니다. 그러나 오염수의 양이 계속해서 증가하면서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들은 이문제를 어떻게 받아 들이고 인식해야할 까요? 이 일본 오염수 해양방류의 문제점들이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인식해야할까? 하는 생각에 제 나름대로 정리하여 생각을 공유할까 합니다.

☑️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될 수 있다고 관련 전문가들이 말하고 있습니다.

1. 방사능 오염: 오염수에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바다에 방류되면 방사능 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해양 생태계 파괴: 오염수는 해양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3. 수산물 오염: 오염수가 바다에 방류되면 수산물이 오염되어 국민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경제적 피해: 오염수 방류로 인해 수산물의 수요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수산업계가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5. 국제사회의 신뢰 하락: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가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입장이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또한, 오염수 방류로 인한 피해는 장기간에 걸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을 신중하게 마련한 이후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도 지리적 위치로 가까이 자리잡고 있는 이유 때문에 어느 나라보다 오염수 방류는 우리나라에 큰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입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바다 방류의 안전성과 관련해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하고, 인체나 환경에 대한 영향은 매우 적다"며 일본 정부의 손을 들어주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를 근거로 133만t의 방사성 물질 오염수를 30-40년 동안 바다로 방류하는 작업을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일본 국내와 국제사회의 반대 여론과 불신이 여전히 깊어 방류 뒤에도 갈등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과거 유사한 사례를 들어다 보면 러시아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이번 방류와 관련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있습니다.

1. 체르노빌 원전 사고: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에서 발생한 사고로,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었습니다. 이 사고로 인해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러시아 등 주변 국가들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2. 쿠시마 원전 사고: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발생한 사고로,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었습니다. 이 사고로 인해 일본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두 사례 모두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어 주변 국가들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사고는 국제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으며, 이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면 처음에는 주변 해역에 집중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류에 의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습니다. 방사능 오염이 바다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오염수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바다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방사능은 생물의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물의 성장, 생식 능력, 생존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되는 오염수에는 라돈, 스트론튬, 케시움 등 다양한 방사능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오염수가 바다에 방출되면 처음에는 주변 해역에 집중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류에 의해 전 세계로 퍼질 수 있습니다. 방사능 오염이 바다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오염수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바다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방사능은 생물의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물의 성장, 생식 능력, 생존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주장과 장기간 저농도로 노출되면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아직 불분명합니다. 해양 동물에 축적된 삼중수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문제가 되는 일본 오염수 방류는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까요?

1.해양 생태계 파괴: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해양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수산업계에도 피해가 예상됩니다.

2.수산물 오염: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수산물이 방사능 물질로 오염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수산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인체 건강 영향: 일본 오염수 방류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수산물이 방사능 물질로 오염될 경우, 우리나라 국민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방사능 물질은 인체의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암, 백혈병, 유전병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해양 오염수 방류에 대해 일본 정부는 오염수 방류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제적인 전문가들과 함께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 무엇보다도 안전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오염수 방류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 하도록 노력해야합니다. 특히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해양오염피해와 수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아울러 오염수 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오염수 방류를 통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정보를 반드시 시시각가 투명하게 공개하여야 합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처리 사건으로 우리에게 환경 보호의 중요성, 국제적인 협력의 중요성,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 과학적인 검증의 중요성, 투명한 정보 공개의 중요성 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지금까지 일본 오염수 해양방류에 관해 전문가들의 의견과 이 사건이 주는 메시지를 바탕으로 문제점이 무엇이고 우리는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바라봐야 할까 하는 생각을 정리하여 간략하게 말씀드렸습니다.